광고

권익보호행정사, 공익신고 잘못하면 독이 될수도

‘공익신고자보호법’ 471개 법령에 해당해야 보호 가능..신분공개 '비동의' 해야

대한행정사신문 | 기사입력 2021/09/09 [13:14]

권익보호행정사, 공익신고 잘못하면 독이 될수도

‘공익신고자보호법’ 471개 법령에 해당해야 보호 가능..신분공개 '비동의' 해야

대한행정사신문 | 입력 : 2021/09/09 [13:14]

[기고 = 김영일 행정사] 권익보호행정사사무소(대표 김영일)는 공익신고를 잘못하면 오히려 독이 될 수 있다고 밝혔다.

▲  김영일 행정사  © 대한행정사신문

 

대다수 국민은 공공의 이익을 위해 공익신고를 하면 보호를 받을 수 있다고 생각하는 경우가 많다.

 

공익신고는 ‘공익신고자보호법’ 별표(471개 법령)에 따라, 국민의 건강과 안전ㆍ환경ㆍ소비자 이익과 공정한 경쟁을 침해하는 행위가 발생했거나, 발생할 우려가 있을 때 신고ㆍ제보하거나 조사, 수사 등에 자료를 제공협조하는 경우를 말한다.

 

그런데 공익신고를 할 때 신고자의 신상정보 등을 비공개 요청해야 함에도 일부 국민은 법률적 지식 부족으로 신분이 노출되거나 분쟁에 휘말려 가족과 협조자 등까지 불이익을 당하는 경우가 많다.

 

그러므로 공익신고를 할 때는 행정전문가인 행정사 등을 통해 ‘공익신고자보호법’ 별표(471개 법령)에 해당하는지를 반드시 확인한 후 조사기관 등에 신고해야만 안전하게 보호받을 수 있다.

 

또한 공익신고에 대한 조사ㆍ수사ㆍ소송 및 공익신고자 보호조치와 관련된 조사ㆍ소송 등에서 진술ㆍ증언한 때도 ‘공익신고자등’에 해당하여 불이익조치 등이 발생하지 않도록 보호받을 수 있다.

 

그러므로 조사기관 등은 공익신고자등이 신분공개에 비동의했음에도 신분을 다른 사람에게 공개하거나, 그 정보를 받은 사람이 다른 사람에게 다시 알려주어도 ‘5년 이하의 징역이나 5천만 원 이하의 벌금’을 받을 수 있으니 공익신고자 보호에 주의가 필요하다.

 

김영일 행정사는 인터뷰에서 “내부 공익신고를 잘못하면 오히려 고소·고발 등에 휘말릴 수 있으니 행정사 등 법률전문가 조언을 받아 공익신고를 진행해야 ‘공익신고자보호법’에 따라 보호받을 수 있고, 구조금이나 신고보상금 등도 받을 수 있을 것이다”라고 밝혔다.

 

김영일 행정사는 국민권익위원회 조사관(부패방지, 공익신고, 고충민원) 출신으로, 퇴직 전 4년 6개월 동안 약 8만 6천 명의 집단 갈등민원 등을 해결했고 그 공적 등을 인정받아 정부 표창 등을 15회나 수상하며 국민의 권익 보호에 앞장서 왔다.

 

퇴직 후 한국갈등조정진흥원 이사장과 권익보호행정사사무소 대표를 맡아 행정기관에서 해결하기 어려운 각종 집단민원을 독특한 조정기법으로 분석, 해결하는 "갈등조정 시스템"을 운영하고 있다

 

<위 기사는 본지 편집방향과 다를 수 있음을 알려 드립니다>

 

한국갈등조정진흥원|권익보호행정사사무소
이사장| 대표 행정사 김영일

전  화:  070-7538-1754
E-mail:  klw@daum.net
홈페이지: www.kcap.or.kr
서울특별시 동작구 사당로20나길 3, 2층 200호

(주요경력)
前 국민권익위원회 조사관(서기관), 前국가청렴위원회 조사관, 前부패방지위원회 주무관

  • 도배방지 이미지

광고
이동
메인사진
이시진 행정사 '주택ㆍ상가 임대차 분쟁상담' 책자 발간
  • 썸네일
  • 썸네일
  • 썸네일
  • 썸네일
  • 썸네일
  • 썸네일
광고
광고
정보자료실 많이 본 기사
광고